2020년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방법 및 자격 조건
안녕하세요. 복금입니다. 2020년 새해 청년내일채움공제 변경사항이 있습니다. 자격조건과 세부사항 변경이 있는데, 오늘은 이 부분을 알아보겠습니다.
요즘 구직자들은 취업난, 중소기업은 구직난을 겪고 있는데요, 일자리 눈높이를 낮추라는 기업과 안정성을 원하는 청년의 간극은 좁혀지기 어렵습니다. 좋은 일자리의 조건 중 하나는 급여입니다. 사회 초년생이 미래를 위한 목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급여조건을 따질 수 밖에 없는데, 중소기업의 경우 급여가 높지 못하다는 점이 구직자들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 부분이 될 수도 있습니다.
구직자들이 원하는 급여조건을 중소기업이 직접 맞춰주긴 어렵겠지만, 중소기업 장기근속자들에게 정부에서 주는 혜택이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청년내일채움공제입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란?
중소,중견기업에서 정규직으로 취업하는 청년들의 장기근속을 위해 청년, 정부, 기업이 공동으로 공제금을 적립하여 2년 또는 3년간 근속한 청년에게 성과보상금 형태로 만기공제금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납입금액의 5배이상으로 만기적립금을 받을 수 있는 고수익 사업이라, 근속할 마음이 있고 자격조건에 해당만 된다면 정말 좋은 사업입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자격조건은?
청년 가입조건은 만 15세 이상, 35세 미만이며 군필자는 39세까지 가능합니다. 고용보험 이력이 없거나 가입기간이 12개월 이하인 경우(단 3개월 이하 단기근무 아르바이트 제외), 고용보험 기간이 12개월이 넘어도 실직기간이 6개월 이상인 자는 가능하며, 대학재학, 휴학중인자는 신청불가합니다.
2년형vs3년형
2년형은 매달 12.5만원을 24개월동안 납부하며, 청년 300만원, 정부 취업지원금 900만원, 기업 400만원으로 만기 적립금 1600만원+이자 수령, 3년형은매달 16.5만원 36개월 납부로, 청년 600만원, 취업지원금900만원, 기업만원으로 3년후 만기적립금 3000만원+이자수령을 할 수 있습니다.
본인이 납입한 금액의 5배이상 받을 수 있는 기회입니다. 중소, 중견기업에 근무하는 청년의 미래자금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며, 장기근속으로 경력을 쌓을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신청방법
신청은 청년냉리채움공제 홈페이지에서 참여신청 가능합니다. 홈페이지에 접속하셔서 청년버튼을 눌러 신청할 수 있습니다.
기본정보, 최종학력정보, 신청정보 등을 입력한 후 2년형인지 3년형인지 선택해 추가 확인사항을 작성하면 됩니다. 해당지역의 운영기관으로 선택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2019년 청년 내일채움공제와 달라진 점(변경사항)
2020년 새해 변경된 사항들이 있습니다. 먼저 신청기간이 취업 후 3개월에서 6개월로 늘어 충분한 기업탐색을 할 수 있는 여유가 생겼습니다. 그리고 월 급여총액이 500만원 초과시 가입이 불가합니다. 정규직 최소 근무시간 규정도 있어 주 30시간 이상 근무해야하며 비정규직(인턴)의 경우 정규직 전환시 인턴기간 일부는 제외됩니다.
동일기업 퇴사 후 재취업시 실직기간 일부 미적용되며, 고졸가입자가 대학진학시에도 가입이 유지됩니다.
경력도 쌓고 목돈도 마련할 수 있는 청년내일채움공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청년에게는 목돈을, 중소/중견기업에게는 우수인력 고용유지를 할 수 있는 사업으로 자격조건이 해당되신다면 신청하셔서 많은 혜택 보시길 바랍니다.